1900년대 일본의 상황

  • 러일전쟁

    • 배경 : 조선과 만주에서의 이권을 두고 러시아와 일본의 갈등이 심화됨
    • 내용 : 일본이 러시아를 상대로 선제공격을 감행, 전쟁에서 승리
    • 의의 : 아시아 국가가 유럽 열강을 이긴 최초의 사례, 일본은 국제사회에서 제국주의 열강으로 인정받고 조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게 됨- 배경 : 조선과 만주에서의 이권을 두고 러시아와 일본의 갈등이 심화됨
    • 내용 : 일본이 러시아를 상대로 선제공격을 감행, 전쟁에서 승리
    • 의의 : 아시아 국가가 유럽 열강을 이긴 최초의 사례, 일본은 국제사회에서 제국주의 열강으로 인정받고 조선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게 됨
  • 한일병합조약 체결

    한일병합조약 체결

    • 배경 : 러일전쟁 이후 일본의 조선 지배력이 극대화됨에 따라 을사늑약(1905)과 정미7조약(1907) 등을 통해 조선을 무력화시킴
    • 내용 : 1910년 8월 29일 조선을 공식적으로 일본의 식민지로 병합함
    • 의의 : 조선의 주권이 상실되고, 본격적인 식민 지배가 시작됨
  • 3·1운동 탄압 및 통치 방식 전환

    • 배경 : 제1차 세계대전 이후 민족 자결주의 확산, 3·1운동 발생
    • 내용 : 일본은 3·1운동을 무력 진압하고 국제 비난을 의식해 통치 방식을 ‘문화통치’로 전환함
    • 의의 : 표면적으로는 유화책이나 실질적으로는 식민 통치를 지속·강화하였고, 그에 따라 조선의 민족운동은 조직적·이념적으로 더 발전하게 됨
  • 간토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사건

    간토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사건

    • 배경 : 1923년 9월 1일, 간토 지역에 대규모 지진 발생 사회 혼란 속에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켰다’는 유언비어가 퍼짐.
    • 내용 : 일본 민간인, 경찰, 군대가 조선인 수천 명을 학살.
    • 의의 : 일본 사회 내 조선인 차별과 혐오가 극단적으로 드러난 사건, 일본 제국주의의 민족차별 구조가 민간까지 뿌리내렸음을 보여줌
  • 5·15 사건 (군부 쿠데타 시도)

    • 배경 : 세계 대공황 이후 일본의 경제·사회 혼란, 군부 세력의 정치 불만 고조
    • 내용 : 해군 청년 장교들이 총리 이누카이 쓰요시를 암살하고, 정당 정치의 기반을 무너뜨림
    • 의의 : 일본 정치가 군부 중심으로 전환되는 시발점이 되었고, 이후 2·26 사건(1936) 등으로 군국주의가 본격화됨
  • 일본 패전

    일본 패전

    • 배경 : 제2차 세계대전에서 일본이 연합군에 밀리고, 히로시마·나가사키에 원자폭탄 투하됨
    • 내용 : 일본 천황이 항복을 선언하며 전쟁이 종결됨에 따라 조선은 일제로부터 해방됨
    • 의의 : 일본 제국주의·군국주의 체제의 붕괴, 미국 중심의 점령 통치 시작, 동아시아 전후 질서 재편의 계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