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 Period: to

    정미의병

    고종의 강제 퇴위, 정미칠조약 체결, 대한제국 군대 해산 등을 계기로 전국적으로 전개된 항일 무장 투쟁으로, 해산된 군인, 유생, 농민, 상인, 천민 등 전 계층이 참여한 구국 전쟁의 성격을 띈다.
  • Period: to

    신민회

    국내 상동교회에서 결성된 항일 비밀결사이며 교육과 출판을 통한 애국계몽운동만이 아니라 무장투쟁을 위한 국외 독립군 기지 활동도 펼쳤다. 그러나 일제에 의해 조작된 105인 사건으로 해산되었다.
  • 3·1운동

    3·1운동

    1919년 3월 1일을 기해 일어난 거족적인 독립만세운동. 전국적인 범위에서 각계각층을 망라하여 전개된 3·1운동은 이민족에 대한 끈질기고 강렬한 독립투쟁정신을 고취하였을 뿐 아니라, 일제의 무단통치방법을 이른바 문화통치로 바꾸게 하였다.
  • 대한민국 임시정부 수립

    대한민국임시정부는 1919년부터 1945년까지 27년간 중국에서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던 임시정부이다. 1919년 4월 11일, 중국 상하이에 수립된 이후 1945년 11월 김구 등이 환국할 때까지 민주공화제의 독립 국가를 건설하고자 하는 목적으로 주권 자치를 실현하였다.
  • Period: to

    의열단 활동

    의열단은 단장 김원봉을 중심으로 만주에서 조직된 비밀결사 독립운동단체로, 일제 관리와 관청 파괴, 암살 등 무력투쟁을 통해 독립을 쟁취하고자 했다. 1923년 신채호의 ‘조선혁명선언’을 통해 강령과 행동강령을 정립했고, 이후 사회주의 이념을 수용하며 활동 방향을 넓혔다.
  • 봉오동 전투

    만주 봉오동에서 독립군 부대가 일본 정규군을 대패시킨 전투. 홍범도와 최진동이 이끄는 독립군이 일본군 헌병 국경초소를 습격·격파하면서 시작된 이 전투는 봉오동 지형을 활용해 유인책을 펼쳐 승리한다.
  • 청산리 대첩

    1920년 10월 21일부터 26일까지 만주 청산리 일대에서 김좌진, 홍범도 등 독립군 연합부대가 일본군 동지대를 상대로 10여 차례 전투 끝에 대승을 거둔 사건으로, 한국 무장독립운동 사상 가장 빛나는 전과를 올린 전투.
  • Period: to

    신간회

    비타협적 민족주의세력과 사회주의세력이 연합하여 결성한 일제하 최대의 민족운동 단체로, 1931년 5월까지 존속하며 전국적으로 150여 개 지회와 4만여 명의 회원을 확보했다.
  • 한인 애국단 설립

    한인 애국단 설립

    김구가 이끈 한인 애국단 의사들의 의거 활동은 국내외의 우리 민족에게 독립 의지를 더욱 굳게 다지게 하였으며, 한국인의 용기를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단원 이봉창은 1932년에 일본 도쿄에서 한국 침략의 원흉인 일본 국왕을 처단하기 위해 국왕의 마차에 폭탄을 던졌으나 성공하지 못하였다. 한편, 단원 윤봉길은 상하이의 훙커우 공원에서 열린 일본군의 상하이 점령 축하 기념식장에 폭탄을 던져 일본군을 응징하였다.
  • 한국광복군 창설

    광복군은 정신적으로는 대한 제국의 국군을 계승하고, 인적으로는 독립군을 계승해 창설된 임시 정부의 국군이었다. 전후 연합국의 지위를 획득한다는 전략으로 연합군과 공동 대일 항전을 전개하고, 해외 무장 세력의 통일을 도모하며 직접적인 국내 진입 작전을 모색을 목표로 삼았다.